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불교 공부

2016.04.23 17:36

식[ 識 ]이란?

조회 수 2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02.jpg

 

식[ 識 ]

 

정의:외경(外境)을 식별하고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밝힌 불교의 교설.

 

내용: 이 식에 관하여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6식설(六識說)·8식설(八識說)·9식설(九識說)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6식설은 소승불교와 대승불교가 모두 채택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6식은 눈[眼]·귀[耳]·코[鼻]·혀[舌]·몸[身]·뜻[意] 등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감각기관인 6근(根)이, 물질[色]·소리[聲]·향기[香]·맛[味]·감촉[觸]·법(法)의 여섯 가지 외부적인 대상인 6경(境)을 대할 때 생겨나는 여섯 가지 인식작용이 6식이다.

즉, 눈이 물질을 대할 때 보는 안식이 있으며, 귀가 소리를 대할 때 듣는 이식이 있으며, 코가 냄새를 대할 때 냄새를 맡는 비식이, 혀가 맛을 대할 때 맛을 감지하는 설식이, 몸이 감촉을 대할 때 느끼는 신식이 있으며, 의가 법을 대할 때 안다는 의식이 있다.

이와 같이, 6근·6경·6식은 서로 연관 속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그 어느 것도 독립적으로 있는 것은 없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제6식인 의식이 근본이 되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 전5식(前五識)을 통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식을 심왕(心王)이라고도 한다.

 

8식설은 앞의 6식설에 제7 말나식(末那識)과 제8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더한 것이다. 말나식은 제6식의 밑에서 조절하는 강한 자의식(自意識)으로서, 범부가 쉽게 감지할 수 없는 의식이다. 이 말나식은 아치(我癡)·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의 번뇌가 자리를 잡고 있어서 이들을 제거하면 7식이 맑아져서 아공(我空)의 경지를 이룰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제8 아뢰야식은 일반적으로 장식(藏識)이라고 번역된다. 장식이란 곧 여래를 감추고 있는 식이라는 뜻으로, 비록 중생이 생사 속에 있지만 이 감춰져 있는 여래만은 결코 상실되거나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아뢰야식이 올바로 발현될 때 곧 여래(如來)가 된다고 보고 있다. 불교의 여러 학설을 종합하여 보면 제8식에 대한 견해는 세 가지 상이한 모습을 지닌다.

첫째, 이 식이 참되고 영원하고 물들지 않는 진상정식(眞常淨識)으로서 여래장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둘째, 그릇된 마음이요, 망념된 생각인 망식(妄識), 또는 지금 당장에는 해롭지도 이롭지도 않지만 밝게 보지 못하는 까닭에 무엇인가 좋지 못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무기무명수안식(無記無明隨眼識)이며, 모든 번뇌의 근본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견해이다.

셋째, 아뢰야식이 참되고 한결같아 동요하지 않는 면과 헛된 망상을 자꾸 일으키는 면이 함께 들어 있는 마음이라고 주장하는 견해이다. 이 세 가지 견해 가운데 지론종(地論宗)은 첫번째 진식(眞識)의 입장을 취하였고, 섭론종(攝論宗)은 두번째 망식의 입장을, 기신론(起信論)은 세번째 진망화합식(眞妄和合識)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섭론종의 주장에 입각하면 이 아뢰야식을 끊어버릴 때 모든 번뇌가 사라지게 되고, 이 식이야말로 모든 미혹의 근본이 되는, 더러움에 물든 좋지 않은 생각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그러나 그들의 의도는 사람의 마음이 이처럼 더럽기만 한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아뢰야식보다 더 차원이 높은 또 하나의 마음자리를 설정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것이 제9식인 아마라식(阿摩羅識)이다. 이 아마라식은 무구식(無垢識)·백정식(白淨識) 등으로 번역되며, 영원하고 한결같고 그릇됨이 없는 진여(眞如)의 경지로 보고 있다.

 

신라의 원효는 8식설 또는 9식설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가 있지만 이들이 궁극적으로 같은 것임을 ≪대승기신론소 大乘起信論疏≫에서 밝히는 한편, 아뢰야식과 무명(無明)과의 관계 아래에서 전개되는 다섯 가지 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섯 가지 식은 깨닫지 못함으로 말미암아 활동이 시작되는 업식(業識), 주관이 형성되는 전식(轉識), 능히 객관세계를 나타내는 현식(現識), 그 나타난 대상세계를 적극적으로 나의 것으로 삼는 지식(智識), 나의 것으로 삼은 대상세계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복잡한 생각을 일으키는 상속식(相續識) 등이다. 이 다섯 가지는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일어나고 어떻게 흘러가서 번뇌에 결박을 당하게 되는가 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풀이하면, ① 업식은 무명의 충동력으로 말미암아 어리석은 마음이 동한 최초의 기동(起動)으로서, 그것을 바로 업(業)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② 전식은 앞의 업식이 동함으로 말미암아 능동적으로 무엇을 보고 생각하는 의식이 일어나는 것을 뜻한다. ③ 현식은 앞의 전식이 보는 바를 바탕으로 하여 무엇이 재현되는 작용을 말한다. 즉 마음의 거울에 색상이 나타나는 바와 같은 것으로서, 어느 때나 부단히 임의대로 생겨나서 항상 우리 앞에 경계(境界)를 나타내는 식이다.

 

이 세 가지 식을 원효는 제8 아뢰야식에 속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④ 지식은 더럽고 깨끗하며 사랑스럽고 미운 것을 구별하고, ‘나’ 또는 ‘내것’이라고 하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원효는 이것을 제7 말나식으로 보고 있다. 이기주의에 근거한 모든 사물의 판단은 이 지식에 해당된다.

⑤ 상속식은 어떤 객관적인 사물 또는 개념에 대한 집착이 항상 속에 깃들여서 오래 지속되는 것을 뜻한다. 원효는 이 식이 사량으로 말미암은 애취번뇌(愛取煩惱)를 일으키는 까닭에 오랜 과거에 저지른 모든 어리석은 행위의 결과들을 현재까지 계속 유지하게 하며, 또 이 식은 능히 하나의 번뇌가 또 다른 번뇌를 더 조장하고 번식시키는 윤생번뇌(潤生煩惱)를 일으켜서 과거의 업에 대한 과보를 어김없이 받게끔 하는 식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 식에 의하여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인과응보가 끊기지 않게 되고, 이 식으로 인하여 홀연히 지나간 일들을 생각하게 되고 미래의 일을 생각하며, 현재를 위한 불필요한 배려까지를 하게 된다는 것이다. 원효는 이 식을 제6 의식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식에 대한 규명은 궁극적으로 이 중생의 세계가 곧 마음의 작용인 여러 가지 식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임을 밝히고, 그 식의 올바른 통제야말로 이 세상을 보다 윤택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됨을 천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원효는 이와 같은 인간의 의식작용에 대한 결론으로서, “삼계(三界)는 허위요 마음이 지은 바일 뿐이며, 마음을 떠나서는 허망한 세계도 없다. ……마음이 일어나면 가지가지 경계가 생겨나고, 마음이 멸하면 가지가지 경계도 사라지게 된다(心生則種種法生 心滅則種種法滅).”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참고문헌『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원효)『원효사상』(이기영, 홍법원, 1967)


  1. No Image

    고요함의 밀도를 높여라! 고밀도의 정밀함!

    고요함의 밀도를 높여라! 고밀도의 정밀함! 고요함의 밀도를 확보해야 '고'의 실체를 볼 수 있다. 어떻게 육근 육경이 촉하고 수가 오는지, 그 순간의 조건들을! 처음- 중간 - 끝 어떻게 그것이 일어나고 사라지는지 처음-중간-끝이 '모든 것'...
    Date2021.04.03 By강소연 Views143
    Read More
  2. No Image

    끝도 한도 없는 청정 의식의 한 자락을 끌어다 쓰다!

    끝도 한도 없는 청정 의식의 한 자락을 끌어다 쓰다! 드넓은 청정 의식의 한 자락을 빌어 썼다가 깨었다. 쓸 때는 모르다가 깰 때 잠시 알았다. 이쪽에서 저쪽으로 전환될 때 잠시 알았다. 한 쪽 넘어가 드넓은 청정한 의식이라는 것을. 지금도 빌어다가 쓰면...
    Date2018.12.08 By강소연 Views86
    Read More
  3. No Image

    <수행일기4> 금강경의 핵심!

    2018년 12월 8일 새벽 3시 금강경의 핵심을 알았다! '무주상보시'란? 무아인 줄 알고 알아차림 하는 것! 천신이 인도해 주었다.
    Date2018.12.08 By강소연 Views87
    Read More
  4. No Image

    <수행일기3> '몸관찰'이란 대체 무엇?

    사념처 수행에서 몸관찰이란 무엇인가? 1. 호흡관찰이 우선 지속적으로 되게 만들어 놓아야 한다. 이것은 앉아서 사마타 방식, 매일매일 해서 집중 타임을 번다(호흡 입구-인중 부분에 알아차림을 두고- 집중한다) 2. 어느 정도 되면 신행身行을, 호흡에 마음 ...
    Date2018.12.08 By강소연 Views98
    Read More
  5. No Image

    <수행일기2> 일상생활 속 수행일기_번뇌를 막아라!

    부지불식간에 올라오는 번뇌를 막아라! 막는 방법은 먼저 선수치고 있는 것이다. 해법: 염불을 계속 돌린다. 부작용은 에너지 소비가 커서 허기진다. 그래서 많이 먹게 된다. 물론 최고 솔루션: 알아차림을 항상 띄워놓는 것인데, 이것이 가물에 콩나듯 되고, ...
    Date2018.11.08 By강소연 Views78
    Read More
  6. No Image

    삶이라고 체험하는 것은, 오온의 전개이다!

    우리가 삶이라고 채험하는 전부는, 오온의 전개이다. 그 바탕에는 요소와 요소들의 만남이 있고 (이것을 연기라고 하셨고) 그것이 계속 변화한다 (이것을 무상이라고 하셨다) 그런데 이 가운데에 변하지 않는 괴롭지 않은 보는 자리가 있다 관조하는 자리가 ...
    Date2017.10.18 By강소연 Views70
    Read More
  7. No Image

    태초에 식識이 있었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 불교식으로 하자면, 태초에 식識이 있었다. 아는 마음이 있었다. 아는 마음과 모르는 마음이 있었다. 어느 쪽이든 모두 마음이다. 識이다. 식의 레벨에 따라 다른 등급의 존재로 태어난다. 그런데 대승불교에서는 아는 마음과 모르는 ...
    Date2017.09.21 By강소연 Views76
    Read More
  8. No Image

    달콤살벌_수행기1

    제목: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제목: 간화선의 추억 세상에 이런 경험이 있다니. 아는 마음이 있었는데 세상을 내려다 보는 그 마음에 나도 비추어져 있었다 그 보는 마음은 여여했고 해가 떠서 그냥 밝았다. 밝음만 있지 환영의 현상만 있지 그외 아무것도 없었...
    Date2017.09.08 By강소연 Views66
    Read More
  9. 의도

    의도 의도가 외출을 한다 의도가 나갔다 온다 바람보다 의도가 먼저 일어나고 풀보다 의도가 먼저 눕는다 하루종일 의도는 멈추지 않고 머물지 않는다 '가상의 나'가 탈진하면 쉬고자 하는 의도가 다시 일어난다 -2016.11. 21
    Date2016.11.21 By강소연 Views61
    Read More
  10. 식[ 識 ]이란?

    식[ 識 ] 정의:외경(外境)을 식별하고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밝힌 불교의 교설. 내용: 이 식에 관하여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6식설(六識說)·8식설(八識說)·9식설(九識說)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6식설은 소승불교와 ...
    Date2016.04.23 By강소연 Views268
    Read More
  11. 【유식】 무위의 개념

    원성실성에는 6가지 무위가 있으니, 1)허공무위 2)택멸무위 3)비택멸무위 4)부동멸무위 5)상수멸무위 6)진여무위 <무위>: "그 자체는 변화하는 것 없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고, 타자를 위해 위작하지 않는다." "연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것" <연>에는 4...
    Date2016.04.11 By강소연 Views1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