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대중 글쓰기

 

천상과 지옥 넘나들며 중생구제의 빛 비추네     2007.3.14

 

 

‘그 때 커다란 향구름과 꽃구름ㆍ아름답고 오묘한 보배장식 구름ㆍ곱고 깨끗한 의복 구름이 몰려와 커다란 향비ㆍ꽃비ㆍ보배장식비ㆍ의복비를 내려 온 대지를 적십니다. 그러자 온갖 백천의 미묘한 큰 법음의 빗소리가 천지를 가득 울립니다. 이는 용맹스럽게 정진하는 소리이며, 지혜로 나아가는 소리이며, 중생을 성숙시키는 소리이며, 삼악도의 중생을 제도하는 소리이며….’<대승대집지장십륜경 서품 중에서>(필자편집인용)

대지를 윤택하게 하는 지장보살의 등장과 더불어 이‘같은 상서로운 징조가 나타나고 그곳에 모인 회중들은 무한한 가피력을 입습니다. 지장보살(地藏菩薩)의 어원은 범어 키티쉬가르바(Ksiti-garbha)입니다. ‘키티쉬’란 ‘대지(大地)’를 뜻하고 ‘가르바’란 ‘생명을 품는 태(胎)’를 의미합니다. 고대 인도의 ‘대지의 신’인 대모지신(大母地神)에 그 연원이 있다는 지장보살은, 대지가 마치 어머니와도 같이 세상만물을 품어 발육 성장시키는 신성한 힘을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물론 지장보살은 우리에게 명부전(冥府殿), 즉 죽음의 세계를 관장하는 주존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지옥에 떨어진 영혼을 구한다는 구원자로서의 지장보살의 의미에 앞서, 대지가 만물을 기르는 것과도 같이 중생을 윤택하게 증장시키고, 또 죽은 영혼에까지 새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지장보살의 보다 근본적인 의미는, 지장보살 관련 초기 경전인 이 <지장십륜경>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온갖 위험과 고난에서 구해주기는 부모와 같고, 여러 가지 비겁하고 용렬한 것을 감싸주기는 우거진 숲과 같고, 여름에 먼 길을 가는 이에겐 쉬어갈 큰 나무와 같고, 더위에 목마른 자에겐 맑은 샘물과 같고, 굶주린 이에게는 달디 단 과실과 같고, 몸이 드러나 자에겐 의복과 같고, 더위에 시달리는 자에게는 두터운 큰 구름과 같고, 빈궁한 자에겐 여의보주와 같고, 두려워 떠는 자에게는 편안히 의지할 바가 되고, 갖가지 곡식을 가꾸는 이에게는 단비가 되고….’

아낌없이 주는 어머니와 같은 이러한 여성적 느낌을 한껏 풍기는 아름다운 고려시대의 지장보살을, 태평양 건너 미국 워싱턴에서 우연한 기회에 만날 수 있었습니다. 워싱턴에 있는 프리어갤러리(스미소니언협회)는 한ㆍ중ㆍ일의 동양 유물 컬렉션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이곳에 소장된 고려불화 조사를 마치고 돌아서려니, 담당 학예관이 비공개 작품이 하나가 더 있다며 신주 모시듯 가지고 나와 펼쳐보여 준 것이 이 고려 지장보살도입니다(그림1).

고려시대에는 단독 ‘지장보살도’, 무독귀왕과 도명존자가 함께 그려진 ‘지장삼존도’, 열 명의 시왕과 함께 그려지는 ‘지장시왕도’ 등 다양한 형식의 지장보살도가 다수 존재하여 아미타신앙과 더불어 지장신앙이 매우 유행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단독으로 그려진 지장보살입상도 중에서, 이렇게 자태가 아름답고 맵시 있는 지장보살은 참으로 보기 드물다 하겠습니다.

{image2 center}
붉은 보석이 알알이 박힌 금석장(그림2)을 한 어깨에 걸치고 석장대를 왼손으로 살짝 잡아 바치고 있습니다. 영롱한 투명 여의주(그림3)를 오른손 바닥에 받쳐 들고 있고, 가사는 남색에 군의(치마)는 붉은 색인데, 수놓아진 문양이 아직도 생생하게 금빛을 발합니다. 지장의 발은 금연화(그림4)가 떠받치고 있군요. 그 외 장식은 링 귀걸이와 영락 목걸이로 다른 보살에 비해 매우 간결합니다. 섬세하고 부드러운 손가락 놀림, 왼발을 살짝 당기는 듯한 느낌과 더불어 표현된 옷자락의 탄력, 과하지도 또 덜하지도 않은 매우 매력적인 자태입니다.

물론 지장보살은 보살입니다만, 보통 보살처럼 높은 보관을 쓴다거나 화려한 영락 장식을 주렁주렁하고 있지 않습니다. 특히 머리모양은 삭발한 승려인 성문형상입니다. 그러니까 보살과 성문의 중간 형식을 취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지장십륜경> 및 <지장보살본원경> 등에도 ‘성문(聲聞)의 모습으로 몸을 나투신다’라고 명기되어 있는데, 지장보살을 어찌하여 보살임에도 불구하고 성문형 즉 승려의 모습을 취하는 것일까요?

{image3 center}
나한신앙과 관련한 지난 연재에서도 언급했듯이, <법화경>에는 성문과 같은 범부의 모습으로 중생들 속에 섞이어 이들을 구제하는 것을 ‘방편을 쓴 보살행’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물론 모든 보살들은 부처의 세계와 속세를 연결해주는 ‘가교’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보살의 모습보다 더욱 친근한 중생들과 같은 성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그만큼 더 민중 속으로 대중들의 고통 속으로 가깝게 다가서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겠지요.

미래의 미륵불이 출현하기까지 육도(六道: 천, 인, 아수라, 축생, 아귀, 지옥)에서 고통 받고 있는 모든 중생을 남김없이 제도한 후, 성불하겠다고 커다란 서원을 세웠기에 지장보살은 ‘대원본존(大願本尊)’ 지장보살로도 통합니다. 지장보살은 이렇듯 중생들이 현세에 지은 악업에 대한 대가를 치르는 내세(특히 지옥계), 즉 업(業)을 짓는 현재 인간세와 그 업에 대한 보(報)를 치르는 내세, 양쪽과 밀접히 관계하기에 ‘유명교주(幽冥敎主)’ 지장보살 및 ‘남방화주(南方化主, 남방이란 남염부제를 지칭하며 인간세를 뜻한다)’ 지장보살로 지칭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천계에서 지옥계에 이르는 육도를 분주히 다 넘나들자면, 게다가 지옥의 형벌 현장에서 죄지은 영혼을 변호하랴, 염라대왕을 설득하랴, 세운 서원대로 삼악도의 일체 중생들을 모두 건져내려면, 화려한 장식과 의습 거추장스런 보살의 차림새로는 사실 무리겠지요.

지장보살은 금석장과 여의주를 그 특징 지물로 가지고 있습니다. 석장은 부처님의 위신력을 대신하는 징표입니다. 마치 왕의 권한을 대신하는 암행어사의 마패와도 같은 것이라고나 할까요. 특히 그 누구도 열 수 없다는 지옥의 문을 열 수 있는 마법의 지팡이입니다.

{image4 center}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부처님이 특별히 빌려준 석장을 가지고 아비지옥으로 향하는 목련존자의 이야기를 목련경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여의주는 어두운 지옥에 광명을 비추어 밝히는 기능을 합니다. ‘그 광명으로 인해 병이 있는 자 모든 병이 낫고, 죽게 되거나 결박되어 옥에 갇힌 자들이 모두 풀려나고, 몸과 말과 뜻이 거칠고 무겁고 더럽고 탁한 자들도 모두 부드럽고 청정함을 얻고 … 가지가지 형벌로 고통당하는 자가 이를 모두 여읠 수 있다<지장십륜경>’고 합니다.

조선전기 성종16(1485)년에 간행된 경본을 비롯한 다수의 현존하는 <지장보살본원경>의 첫머리 지장경계청 부분에는 ‘자비스러운 인으로 선근을 쌓아 맹세코 중생을 구제해내는 (지장보살이) 손 가운데 가진 금석주장을 떨치면 지옥문이 스스로 열리고, 손바닥 위에 밝은 구슬의 광명은 널리 대천세계를 비추나니’라는 문구가 확인되어 그 지물의 기능을 명료히 알 수 있습니다. 오늘도 지장보살을 어김없이 지옥과 현세의 고통 속 현장을 넘나들며 금석장으로는 수많은 지옥문을 두드리고, 여의주의 광명으로는 어둠 속 영혼들에게 구원의 빛을 비추고 있겠지요.<


  1.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2) 사천왕상(하): 조선전기 <영산회상도> (日 오사카 사천왕사 소장)

    설법 · 가람 · 나라 지키는 위풍당당 수호신 2007. 9.5 “당나라 군사들이 수없이 우리나라 국경에 이르러 바다 위를 순회하고 있습니다”라고 정주고을 사람이 달려와 급히 아뢰었다. “일이 이미 절박하게 되었으니 어찌하면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92
    Read More
  2.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1) 사천왕상(상): 조선전기 <영산회상도> (日 오사카 사천왕사 소장)

    청정 법계의 지킴이: 불보살 만나기 전 사천왕 검문은 '필수' 2007.9.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이 왕사성 밖 기사굴산 중에 머무시어, 큰 비구의 무리 1만 2천 명과 함께 하시고 … 성자의 무리 2천 명 … 보살의 무리 8...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97
    Read More
  3.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0) 창작성 돋보이는 근대 <칠성탱화> (서울 종로구)

    흰 소, 천도복숭아, 壽福 글자 ... 불교장생의 유토피아 2007.8.1 시끌벅적한 동대문을 지나 서울성곽을 바로 등진 곳에 안양암이라는 사찰이 있다. 대웅전에서 명부전ㆍ천오백불전ㆍ염불당ㆍ영각 그리고 암벽 조각된 마애보살상까지, 그리 크지 않은 경내의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140
    Read More
  4.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9) 조선후기 <칠성탱화> (전남 대흥사 소장)

    "해와 달 · 별이 인간과 자연의 생멸을 관장한다" 2007.7.4 중국 옛 고사에는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의 두 신선이 수명이 19살밖에 되지 않는 한 소년의 수명을 99살로 늘려주었다는 일화가 있다. 바둑을 두던 두 신선은 소년에게 술상을 대접받고 그 답...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81
    Read More
  5.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8) 조선전기 <칠성탱화> (日 애지현 보주원 소장)

    칠성신앙 불교로 포용되어 '칠성여래'로 탄생 2007.6.20 아이를 점지해 주고 또 무병장수케 해주는 칠성님이 부처님으로, 즉 칠성여래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전국의 거의 모든 사찰 한 켠에서 찾아볼 수 있는 칠성각에 모셔진 칠성여...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56
    Read More
  6.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7) 지옥세계(하): <지장보살본원경변상도> (日 교토 지은원소장)

    조건없는 사랑만이 지옥에서 해방2007.5.2 휘영청 푸른 달과 그 주변을 가득 수놓은 금강석 별들이 영롱히 비치는 해인삼매(海印三昧)의 바다가 아니라, 분노로 활활 끓어오르는 불바다이다/ 보드라운 숨결과도 같은 금은(金銀) 모래사장이 아니라, 날카로운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76
    Read More
  7.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6) 지옥세계(상): 청룡사 명부전 시왕탱 <제5염라대왕도>

    지금 하는 모든 일이 업경대에 녹화되고 있다 2007.4.18 …인간 백년 다 살아도 병든 날과 잠든 날과/ 근심걱정 다 제하면 단 사십을 못 사나니/ 어제 오늘 성턴 몸이 저녁낮에 병이 들어/ 섬섬하고 약한 몸에 태산같은 병이 들어/ 부르나니 어머니요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65
    Read More
  8.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5) <육도윤회승침도> 해인사 명부전 시왕도

    망망한 업의 바다 건너 성불하는 그날까지 2007.4.4 }‘북경에서 나비 한 마리가 날갯짓을 하면 뉴욕에 태풍이 인다’라는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어떤 미묘한 변화가 태평양 건너 지구 반대편에 상상도 못할 엄청난 결...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4
    Read More
  9.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4) 고려불화 <지장보살도> (미국 소미소니언 프리어갤러리 소장)

    천상과 지옥 넘나들며 중생구제의 빛 비추네 2007.3.14 ‘그 때 커다란 향구름과 꽃구름ㆍ아름답고 오묘한 보배장식 구름ㆍ곱고 깨끗한 의복 구름이 몰려와 커다란 향비ㆍ꽃비ㆍ보배장식비ㆍ의복비를 내려 온 대지를 적십니다. 그러자 온갖 백천의 미묘...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72
    Read More
  10.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3) 고려불화 <아미타여래도> (日 교토 선림사 소장)

    극락정토의 아름다움, 한 몸에 품다 2007.2.28 달님이시여 서방까지 가셔서 무량수불전에 일러 사뢰소서 서원 깊으신 부처님을 우러러 두 손 모아 원왕생- 원왕생- 그리워하는 이가 있다고 사뢰소서 아아, 이 몸 남겨 두고 사십팔 대원 이루실까 <삼국유사 권...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294
    Read More
  11.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2) 근원으로 돌아가라 <반본환원> 송광사 심우도 벽화

    근원으로 돌아가라 2007.2.14 계획없이 찾아간 전남 조계산 송광사. 승보전에 그려진 심우도 벽화를 따라 한발 한발 옮겨가다가 멈추어 서게 된 것은 ‘반본환원(返本還源, 근본으로 돌아가라)’의 장면이었습니다.(그림1) 返本還源已費功 근원으로...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9
    Read More
  12.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1) <유마거사와 문수보살의 법담>(하) (中 돈황벽화)

    일체의 대립 초월해 대자유에 들어가 보라 2007.1.24 유마거사에게 병이 났다고 합니다. 병이 났다는 것은 나와 우주와의 조화가 깨졌다는 신호. 인간은 대자연의 일부이니, 자연스레 흘러야할 몸의 또는 정신의 운행에 차질이 생겼다는 것은 나와 자연과의,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2
    Read More
  13.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0) <유마거사상>(상) (日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분별 떨쳐낸 순간 꽃은 그냥 꽃일 뿐 2007.1.10 ‘그때 아리따운 천녀 하나가 유마의 방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그림1). 그녀는 곧 대보살들과 대 제자들의 머리 위로 아름다운 꽃비를 내려습니다(그림2). 보살들의 몸에 내린 꽃잎들은 아래로 흘러 떨어...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54
    Read More
  14.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9) <일심삼관문탱(一心三關門幀)> (심우사 소장)

    어머니! 당신이 없으면 이 세상도 없습니다 2006.12.13 ‘가령 어떤 사람이 그 왼쪽 어깨에는 아버지를 오른쪽 어깨에는 어머니를 업고, 살가죽이 닳아 뼈에 이르고 또 뼈가 닳아 골수에 이르기까지 수미산을 백 천 번 돌더라도 부모의 깊은 은혜는 다 ...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48
    Read More
  15.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8) 조선후기 화엄탱/팔상탱 속의 노사나불: 설법인 보살형노사나불의 출현(하)

    귀족불교에서 민중불교로 가는 전환기 반영 2006.11.8 자비로운 행동(菩薩行)으로 이 험한 세상을 아름답게 가꾸는 것(莊嚴), 쉽게 말하자면 이것이 바로 ‘갖가지 꽃(華)으로 장엄(莊嚴)한다’라는 <화엄경(華嚴經)>의 의미입니다. 어렵게 말하자...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69
    Read More
  16.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7) 조선후기괘불 공주 신원사 <노사나불도>: 설법인 보살형노사나불의 출현(상)

    "법을 설하리" 큰 수레 굴리는 경이적 순간 2006.10.25 “고생 끝에 겨우겨우 얻은 이것을 어이 또 남들에게 설해야 되랴…” 석가모니는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은 뒤에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정각(正覺, 깨달음)을 통해 힘겹게 얻게 된 이...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