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대중 글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극락정토의 아름다움, 한 몸에 품다    2007.2.28

 

 

 

달님이시여
서방까지 가셔서
무량수불전에
일러 사뢰소서
서원 깊으신 부처님을 우러러
두 손 모아

원왕생- 원왕생-
그리워하는 이가 있다고 사뢰소서
아아, 이 몸 남겨 두고
사십팔 대원 이루실까

<삼국유사 권5 신주 : 광덕(廣德)의 원왕생가(願往生歌)>

밤하늘 달님에게 서방극락정토에 다시 태어나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의탁하여 읊은 노래입니다. 신라 문무왕 때 사문인 광덕이 지은 향가로 그는 아미타염불에 전념한 끝에 그의 염원대로 극락정토에 왕생했다지요.

서방극락정토를 주관하는 부처인 아미타불은 전생에 법장비구였습니다. 법장비구는 고통 속의 중생을 남김없이 구하기 전에는 차라리 성불하지 않겠다며, 사십팔 가지의 커다란 서원(48大願)을 세우고, 극락정토라는 낙원을 이루리라는 결심을 합니다. 법장은 영겁의 오랜 세월 동안 수행을 거듭한 끝에, 그 업력으로 눈부시게 아름다운 극락세계를 건설하고 아미타불이 됩니다.

이러한 장엄한 아름다움을 한 몸에 품은 신비스런 아미타불(그림1, 고려말기 14세기추정, 교토 선림사소장)을, 필자는 일본 교토국립박물관의 유물창고에서 배견한 적이 있습니다. 검은 배경을 뒤로하고 찬란한 빛을 발하여 푸른 연꽃을 탄 아미타불의 환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환상적인 효과는 약 7백년이 넘는 세월이 지나도록 생생하게 남아있는 채도 높은 금선묘에 기인하기도 하겠지만, 이 아미타여래도는 여타 아미타여래도와는 무언가 다른 면이 있습니다.

{image2 center}
근엄하면서도 존재감이 아주 강한 이 아미타 존상은, 매우 명상적이며 심오한 적멸(寂滅)의 분위기를 한껏 뿜어내고 있다는 것이 다른 아미타여래도와 구별되는 특징입니다. 붉은 납의(衲衣, 가사 또는 대의)는 둥근 원 문양으로 가득한데, 가까이 다가가 들여다보면 그 속에는 또다른 세계가 펼쳐집니다. 지름 5센티미터도 안되는 원문양은 생동감 넘치는 연꽃의 덩어리입니다(그림2). 연꽃 줄기는 힘차게 동심원의 넝쿨을 만들며 연속적으로 뻗어나오고 있습니다.

또 아미타불의 오른편 무릎을 덮은 납의 문양으로는, 국화ㆍ석류 등 여러 가지 화훼를 합해놓은 듯한, 현실세계에서는 있을 수 없는 보상화(寶相華)가 포도송이와 같은 보주를 줄줄이 쏟아내며 풍요로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그림2). 아미타불의 오른쪽 어깨를 덮는 가사 밑으로는 녹색 복편의(覆偏衣) 자락이 보이는데, 여기에는 영기(靈氣)가 구름처럼 가득 피어오르고 이 속에서 금빛 봉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치 영기가 모여 봉황으로 화한 듯한 형상입니다(그림3).

{image3 center}
이러한 디테일의 극적인 화려함은 깊은 고요함을 표방하는 아미타불의 외적 정적과 절묘한 밸런스를 이루며, 성스러운 아름다움을 자아냅니다. 황금의 땅, 천상의 음악, 흩날리는 꽃비, 극락조의 비상, 향기로운 미풍, 금모래가 비치는 영롱한 연못물 등의 묘사로 표현되는 극락정토의 아름다움을 여래의 한 몸 안에 다 품은 듯합니다.

유사 시기의 다른 아미타설법독존도는 본 작품과는 다르게 높은 육각형의 수미단에 결가부좌하고 앉아 있는데, 이는 소위 당시 국제양식으로 통했던 중국 남송의 수도 항주를 중심으로 유행한 불화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본 작품은 기본 형식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 표현양식에 있어서도 타력(他力)과 자력(自力)이 만나는 유심정토(唯心淨土)를 표현한듯한 독특한 적멸의 분위기로, 유명한 서구방필(徐九方筆)의 수월관음도와 더불어 고려불화의 백미라 하겠습니다.

‘나무아미타불(아미타불에 귀의합니다)’이라는 여섯자 명호는 누구나 다 알고 있듯, 시대와 지역을 불문하고 민중과 가장 가까운 신앙으로 아미타신앙은 유행을 했었습니다. 마음을 모아 부르는 염불만으로 극락을 보장한다는 정토신앙은, 그 유래가 원효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원효는 화엄의 대가이지만 화엄사상과 더불어 정토사상을 그 양축으로 삼았습니다. 고려시대 불교개혁을 단행한 광종 역시 선교(禪敎)일치와 더불어 선종과 정토종의 합일을 꾀하는 선정(禪淨)일치을 추진했고, 고려후기 백련결사를 일으켰던 요세 역시 교학으로는 천태의 법화사상을, 실천적 신앙으로서 염불정토사상 채택하였습니다.

정토신앙은, 시대에 따라 민중을 포섭하는 방편으로서건 또는 실천적 수행으로서건, 화엄ㆍ 법화 또는 선종과 결합 또는 병행하여, 영원한 중생이 궁극의 염원으로서 그 명맥을 유지해 왔습니다. 불교를 교학적 또는 철학적 학문이 아니라, 신앙으로 또 종교로 만드는 역할은 물론 이 정토신앙이 담당했겠지요.

{image4} 영국의 사상가 존 러스킨은 ‘꽃은 왜 피는가’에 대한 명제에 대해 그 생식적 기능이나 의미를 따지지 않고 ‘피기위해 핀다’라고 했답니다. 열매를 맺기 위해서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그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핀다면, 새는 먹이나 이동을 위해서가 아니라 ‘날기 위해 납니다’. 나는 그 ‘무엇을 위해서’가 아니라 ‘존재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의 불성(佛性)을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가 아니라 이 불국토를 ‘어떻게 장엄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됩니다.

어느 순간 공기가 감미롭고, 흐르는 냇물의 투명함이 눈부시고, 풍경소리가 천상의 종소리로 울려 퍼지고, 생명력을 품은 신록과 각종 꽃과 나무와 새들이 아름답게 빛나 보인다면, 존재하는 것에 기능과 효용 또 이유를 달기보다는 존재 자체의 아름다움을 청정한 마음으로 느낄 때, 우리는 이 사바세계 예토(穢土)에서도 정토(淨土)를 체험할 수도 있을 듯합니다.

석가모니는 젊었을 때 ‘인생은 고(苦)’라고 정의했지요. 하지만 그가 열반에 가까웠을 때, 그는 서쪽으로 지는 태양이 물들이는 장밋빛 노을을 바라보며 ‘인생은 실로 아름다운 것’이라고 했답니다.


  1.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2) 사천왕상(하): 조선전기 <영산회상도> (日 오사카 사천왕사 소장)

    설법 · 가람 · 나라 지키는 위풍당당 수호신 2007. 9.5 “당나라 군사들이 수없이 우리나라 국경에 이르러 바다 위를 순회하고 있습니다”라고 정주고을 사람이 달려와 급히 아뢰었다. “일이 이미 절박하게 되었으니 어찌하면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92
    Read More
  2.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1) 사천왕상(상): 조선전기 <영산회상도> (日 오사카 사천왕사 소장)

    청정 법계의 지킴이: 불보살 만나기 전 사천왕 검문은 '필수' 2007.9.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이 왕사성 밖 기사굴산 중에 머무시어, 큰 비구의 무리 1만 2천 명과 함께 하시고 … 성자의 무리 2천 명 … 보살의 무리 8...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97
    Read More
  3.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0) 창작성 돋보이는 근대 <칠성탱화> (서울 종로구)

    흰 소, 천도복숭아, 壽福 글자 ... 불교장생의 유토피아 2007.8.1 시끌벅적한 동대문을 지나 서울성곽을 바로 등진 곳에 안양암이라는 사찰이 있다. 대웅전에서 명부전ㆍ천오백불전ㆍ염불당ㆍ영각 그리고 암벽 조각된 마애보살상까지, 그리 크지 않은 경내의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140
    Read More
  4.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9) 조선후기 <칠성탱화> (전남 대흥사 소장)

    "해와 달 · 별이 인간과 자연의 생멸을 관장한다" 2007.7.4 중국 옛 고사에는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의 두 신선이 수명이 19살밖에 되지 않는 한 소년의 수명을 99살로 늘려주었다는 일화가 있다. 바둑을 두던 두 신선은 소년에게 술상을 대접받고 그 답...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81
    Read More
  5.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8) 조선전기 <칠성탱화> (日 애지현 보주원 소장)

    칠성신앙 불교로 포용되어 '칠성여래'로 탄생 2007.6.20 아이를 점지해 주고 또 무병장수케 해주는 칠성님이 부처님으로, 즉 칠성여래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전국의 거의 모든 사찰 한 켠에서 찾아볼 수 있는 칠성각에 모셔진 칠성여...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56
    Read More
  6.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7) 지옥세계(하): <지장보살본원경변상도> (日 교토 지은원소장)

    조건없는 사랑만이 지옥에서 해방2007.5.2 휘영청 푸른 달과 그 주변을 가득 수놓은 금강석 별들이 영롱히 비치는 해인삼매(海印三昧)의 바다가 아니라, 분노로 활활 끓어오르는 불바다이다/ 보드라운 숨결과도 같은 금은(金銀) 모래사장이 아니라, 날카로운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76
    Read More
  7.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6) 지옥세계(상): 청룡사 명부전 시왕탱 <제5염라대왕도>

    지금 하는 모든 일이 업경대에 녹화되고 있다 2007.4.18 …인간 백년 다 살아도 병든 날과 잠든 날과/ 근심걱정 다 제하면 단 사십을 못 사나니/ 어제 오늘 성턴 몸이 저녁낮에 병이 들어/ 섬섬하고 약한 몸에 태산같은 병이 들어/ 부르나니 어머니요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65
    Read More
  8.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5) <육도윤회승침도> 해인사 명부전 시왕도

    망망한 업의 바다 건너 성불하는 그날까지 2007.4.4 }‘북경에서 나비 한 마리가 날갯짓을 하면 뉴욕에 태풍이 인다’라는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어떤 미묘한 변화가 태평양 건너 지구 반대편에 상상도 못할 엄청난 결...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4
    Read More
  9.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4) 고려불화 <지장보살도> (미국 소미소니언 프리어갤러리 소장)

    천상과 지옥 넘나들며 중생구제의 빛 비추네 2007.3.14 ‘그 때 커다란 향구름과 꽃구름ㆍ아름답고 오묘한 보배장식 구름ㆍ곱고 깨끗한 의복 구름이 몰려와 커다란 향비ㆍ꽃비ㆍ보배장식비ㆍ의복비를 내려 온 대지를 적십니다. 그러자 온갖 백천의 미묘...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72
    Read More
  10.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3) 고려불화 <아미타여래도> (日 교토 선림사 소장)

    극락정토의 아름다움, 한 몸에 품다 2007.2.28 달님이시여 서방까지 가셔서 무량수불전에 일러 사뢰소서 서원 깊으신 부처님을 우러러 두 손 모아 원왕생- 원왕생- 그리워하는 이가 있다고 사뢰소서 아아, 이 몸 남겨 두고 사십팔 대원 이루실까 <삼국유사 권...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294
    Read More
  11.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2) 근원으로 돌아가라 <반본환원> 송광사 심우도 벽화

    근원으로 돌아가라 2007.2.14 계획없이 찾아간 전남 조계산 송광사. 승보전에 그려진 심우도 벽화를 따라 한발 한발 옮겨가다가 멈추어 서게 된 것은 ‘반본환원(返本還源, 근본으로 돌아가라)’의 장면이었습니다.(그림1) 返本還源已費功 근원으로...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9
    Read More
  12.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1) <유마거사와 문수보살의 법담>(하) (中 돈황벽화)

    일체의 대립 초월해 대자유에 들어가 보라 2007.1.24 유마거사에게 병이 났다고 합니다. 병이 났다는 것은 나와 우주와의 조화가 깨졌다는 신호. 인간은 대자연의 일부이니, 자연스레 흘러야할 몸의 또는 정신의 운행에 차질이 생겼다는 것은 나와 자연과의,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2
    Read More
  13.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0) <유마거사상>(상) (日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분별 떨쳐낸 순간 꽃은 그냥 꽃일 뿐 2007.1.10 ‘그때 아리따운 천녀 하나가 유마의 방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그림1). 그녀는 곧 대보살들과 대 제자들의 머리 위로 아름다운 꽃비를 내려습니다(그림2). 보살들의 몸에 내린 꽃잎들은 아래로 흘러 떨어...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54
    Read More
  14.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9) <일심삼관문탱(一心三關門幀)> (심우사 소장)

    어머니! 당신이 없으면 이 세상도 없습니다 2006.12.13 ‘가령 어떤 사람이 그 왼쪽 어깨에는 아버지를 오른쪽 어깨에는 어머니를 업고, 살가죽이 닳아 뼈에 이르고 또 뼈가 닳아 골수에 이르기까지 수미산을 백 천 번 돌더라도 부모의 깊은 은혜는 다 ...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48
    Read More
  15.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8) 조선후기 화엄탱/팔상탱 속의 노사나불: 설법인 보살형노사나불의 출현(하)

    귀족불교에서 민중불교로 가는 전환기 반영 2006.11.8 자비로운 행동(菩薩行)으로 이 험한 세상을 아름답게 가꾸는 것(莊嚴), 쉽게 말하자면 이것이 바로 ‘갖가지 꽃(華)으로 장엄(莊嚴)한다’라는 <화엄경(華嚴經)>의 의미입니다. 어렵게 말하자...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69
    Read More
  16.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7) 조선후기괘불 공주 신원사 <노사나불도>: 설법인 보살형노사나불의 출현(상)

    "법을 설하리" 큰 수레 굴리는 경이적 순간 2006.10.25 “고생 끝에 겨우겨우 얻은 이것을 어이 또 남들에게 설해야 되랴…” 석가모니는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은 뒤에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정각(正覺, 깨달음)을 통해 힘겹게 얻게 된 이...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