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대중 글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머니! 당신이 없으면 이 세상도 없습니다    2006.12.13

 

 

‘가령 어떤 사람이 그 왼쪽 어깨에는 아버지를 오른쪽 어깨에는 어머니를 업고, 살가죽이 닳아 뼈에 이르고 또 뼈가 닳아 골수에 이르기까지 수미산을 백 천 번 돌더라도 부모의 깊은 은혜는 다 갚지 못 한다’ <부모은중경: 제3장 2절>

한 청년이 머리가 백발이 된 두 남녀 노인을 양어깨에 가득 들쳐 업고 위태로운 산길을 가고 있습니다(그림2). 발치 아래에는 검푸른 파도가 넘실거립니다. 기괴한 암석 산의 좌우로는 붉은 해와 흰 달이 돌고 있습니다. 기암절벽의 이 거대한 산은 세계의 중심에 우뚝 솟아 있다는 수미산입니다(그림1). 수미산의 높이는 8만 4천 유순(총 높이는 16만 8천 유순인데 그 반은 바다에 잠겨있다고 함). 1유순은 약 7~10km, 그러니까 해발 약 84만km의 가파른 길을 부모님을 업고 백 천 번 돌아도 그 은혜는 다 갚을 수 없을 정도라 하니, 참으로 감당하기 힘든 비유입니다. 물론 부모님 은혜에 보답하는 수고로움은 아무리 힘이 들어도, 그 큰 사랑에는 못 미친다는 뜻이겠지요.

이 작품(그림1)은 낳아주신 부모님과의 인연과 그 은혜의 막중함을 강조한 <부모은중경>의 여덟 가지의 비유(授喩八種) 중 ‘주요수미(周遼須彌, 부모를 업고 수미산을 도는 비유)’ 장면을 표현한 것입니다.

효(孝)자는 자식이 부모를 업고 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니, 부모를 업어 모시는 행위는 예부터 효행을 상징하는 모습이었나 봅니다.

< 부모은중경>은 길을 가던 세존이 길바닥의 마른 뼈 한 무더기에 갑자기 머리를 조아려 절을 하며 시작됩니다. 의혹스러워하는 제자 아난에게 이 백골은 혹 나의 전생의 부모일 수 있다며, 이것이 남자의 것인지 여자의 것인지 가려보라 합니다. 그리곤 남자의 것은 희고 무거울 것이고, 여자의 것이라면 검고 가벼울 것이라고 그 가늠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특히 여자의 뼈가 그러한 이유는 아이를 낳고 기를 때 소모되는, 말 그대로 뼈골 빠지는 노고로 여자의 뼈는 뼛속까지 텅 비어 가볍고 검게 된다는 것. 그때서야 아난은 ‘가슴을 도려내듯 아파 눈물을 흘리며’ 세존에게 ‘어머니의 은덕’에 보답할 길을 알려 달라고 간청합니다.

그러자 세존은 어머니가 열 달 동안 아이를 품는 과정과 그 괴로움을 구체적으로 설하고 그 은혜를 열 가지 게송으로 찬송을 합니다. 먼저 ‘뱃속에 품고 지켜주신 은혜(회탐수호은)’에서는 그 첫 머리에서 ‘여러 겁의 인연이 지중해서 이번 생에도 다시 모태에 의탁 했네’라는 구절을 만나게 됩니다. 어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자식, 이 세 명의 인연이 참으로 여러 겁의 세월 속에서 인연이 겹치고 또 겹치어 이렇게 현생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는 그 인연의 필연적 소중함으로 게송은 시작됩니다. 그러니 이렇게 막중한 인연에 대한 한탄이나 원망은 입에 쉽게 올리지 못할 것이고 또 함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먼저 깨닫게 합니다. 부모님은 가장 가까이 있는 대상이기에, 가장 사랑하는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때론 가장 원망하는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소위 ‘애증’의 관계라고나 할까요. 감사와 효행을 통해 이 운명의 관계를 받아들이는 것이, 진정 세상을 또 나 자신을 받아들이는 첫걸음이기에, 효는 일 백가지 행실의 근본(百行之本)이라고도 합니다.

다음으로 경전에는 자식 무사함에 모든 고통을 잊는 은혜, 젖 먹여 길러주신 은혜(그림3), 자식을 위해 모진 일도 감수하시는 은혜, 끝까지 버리지 않고 어여삐 여기시는 은혜 등이 나열됩니다. 지난날 곱고 아름다웠던 자태가 자식 뒷바라지에 망가지고 거칠어져도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는 모정, 자식들의 괴로움은 잠시라도 참으로 오래도록 쓰린 어머니의 마음, 멀리 길 떠난 자식 걱정에 뒤척이는 밤들, 백 살인 어머니가 여든 살 된 자식 걱정하는 마음, 명이 다한 다음에야 비로소 그칠 그 깊은 애정 등의 표현 속에서는 바로 우리 어머니의 모습이 눈에 선하게 떠올라 구구절절 그 내용이 마음을 울립니다.

{image2 center}
< 부모은중경>에는 부모 중에서도 특히 어머니의 은덕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경전 문두에서 보았듯이, 삼계(三界)의 대 스승이고 사생(四生)의 아버지이신 더 이상 높을 것이 없는 세존을, 땅바닥에 머리 조아리게 한 대상은 바로 어머니였던 것입니다.

유교에서 가장 중시되는 덕목 역시 효(孝)입니다. 부모와 자식 간이라는 가장 일차적인 관계는 효라는 매체로 이어지고 이는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의 가장 기본에 되는 덕목으로 꼽힌다는 것입니다.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시니…. 은혜를 갚고자 하나, 하늘처럼 넓어 끝이 없어라(詩經)’ 이 유명한 구절을 처음 배울 때, ‘아버지 날 낳으신다’는 대목에서 누구나 잠시 의아스럽게 생각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이렇듯 유교의 효는 가부장적 체제 즉 부계(父系), 아버지의 부성을 강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버지에 대한 효의 사회적 확대가 곧 임금에 대한 충(忠)이라는 것이지요.

또 부모에게서 받은 신체발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며, 입신양명하여 후세에 이름을 날리는 것이 효의 마침 즉 효의 완성이라고 말하고 있어, 사회제도권 안에서의 성공을 효의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효경(孝經)>을 보면, 천자에서 서인에 이르기까지의 효의 역할과 직분을 각 계급별로 나누어 정의해 놓았지요.

반면, <부모은중경>에서 말하는 어머니의 모성은 너무나 사실적이고 또 인간적이라, 충이니 예(禮)니 직분이니 따질 겨를 없이 바로 읽는 이의 가슴을 가로질러 심금을 절절히 울려버리는 매력이 있습니다.

많은 불교 경전에는 특히 어머니의 존재가 빈번히 등장합니다. 석가모니는 득도 후에 먼저 도솔천 올라가 어머니를 위한 설법을 합니다. 석가모니 열반 장면의 우측 상단에는 필히 어머니인 마야부인이 등장하여, 그의 마지막을 지키려 구름을 타고 부랴부랴 내려오고 있습니다.

< 아미타경>에서 극락을 보여 달라고 간청한 사람은 불효막심한 아사세태자의 어머니 위데휘부인이었지요.

또 조선후기에 유행한 <우란분경>(또는 목련경)의 내용은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 영혼을 필사적으로 구출하려는 아들 목련존자의 고군분투입니다. 물론 불교에서의 궁극적인 효의 목표는, 어머니의 고단한 영혼이 극락왕생하여 영원히 편안한 쉼터를 찾게 하는 것이지요.

관음보살의 조건 없는 자비는 어머니의 무조건적인 사랑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누군가 이렇게 말했지요. “어머니 당신이 있으면 세상이 있고, 어머니 당신이 없으면 세상이 없습니다.”

 

강소연 박사(홍익대학교 겸임교수)


  1.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2) 사천왕상(하): 조선전기 <영산회상도> (日 오사카 사천왕사 소장)

    설법 · 가람 · 나라 지키는 위풍당당 수호신 2007. 9.5 “당나라 군사들이 수없이 우리나라 국경에 이르러 바다 위를 순회하고 있습니다”라고 정주고을 사람이 달려와 급히 아뢰었다. “일이 이미 절박하게 되었으니 어찌하면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92
    Read More
  2.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1) 사천왕상(상): 조선전기 <영산회상도> (日 오사카 사천왕사 소장)

    청정 법계의 지킴이: 불보살 만나기 전 사천왕 검문은 '필수' 2007.9.5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이 왕사성 밖 기사굴산 중에 머무시어, 큰 비구의 무리 1만 2천 명과 함께 하시고 … 성자의 무리 2천 명 … 보살의 무리 8...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97
    Read More
  3.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30) 창작성 돋보이는 근대 <칠성탱화> (서울 종로구)

    흰 소, 천도복숭아, 壽福 글자 ... 불교장생의 유토피아 2007.8.1 시끌벅적한 동대문을 지나 서울성곽을 바로 등진 곳에 안양암이라는 사찰이 있다. 대웅전에서 명부전ㆍ천오백불전ㆍ염불당ㆍ영각 그리고 암벽 조각된 마애보살상까지, 그리 크지 않은 경내의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140
    Read More
  4.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9) 조선후기 <칠성탱화> (전남 대흥사 소장)

    "해와 달 · 별이 인간과 자연의 생멸을 관장한다" 2007.7.4 중국 옛 고사에는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의 두 신선이 수명이 19살밖에 되지 않는 한 소년의 수명을 99살로 늘려주었다는 일화가 있다. 바둑을 두던 두 신선은 소년에게 술상을 대접받고 그 답...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81
    Read More
  5.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8) 조선전기 <칠성탱화> (日 애지현 보주원 소장)

    칠성신앙 불교로 포용되어 '칠성여래'로 탄생 2007.6.20 아이를 점지해 주고 또 무병장수케 해주는 칠성님이 부처님으로, 즉 칠성여래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전국의 거의 모든 사찰 한 켠에서 찾아볼 수 있는 칠성각에 모셔진 칠성여...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56
    Read More
  6.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7) 지옥세계(하): <지장보살본원경변상도> (日 교토 지은원소장)

    조건없는 사랑만이 지옥에서 해방2007.5.2 휘영청 푸른 달과 그 주변을 가득 수놓은 금강석 별들이 영롱히 비치는 해인삼매(海印三昧)의 바다가 아니라, 분노로 활활 끓어오르는 불바다이다/ 보드라운 숨결과도 같은 금은(金銀) 모래사장이 아니라, 날카로운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76
    Read More
  7.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6) 지옥세계(상): 청룡사 명부전 시왕탱 <제5염라대왕도>

    지금 하는 모든 일이 업경대에 녹화되고 있다 2007.4.18 …인간 백년 다 살아도 병든 날과 잠든 날과/ 근심걱정 다 제하면 단 사십을 못 사나니/ 어제 오늘 성턴 몸이 저녁낮에 병이 들어/ 섬섬하고 약한 몸에 태산같은 병이 들어/ 부르나니 어머니요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65
    Read More
  8.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5) <육도윤회승침도> 해인사 명부전 시왕도

    망망한 업의 바다 건너 성불하는 그날까지 2007.4.4 }‘북경에서 나비 한 마리가 날갯짓을 하면 뉴욕에 태풍이 인다’라는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어떤 미묘한 변화가 태평양 건너 지구 반대편에 상상도 못할 엄청난 결...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4
    Read More
  9.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4) 고려불화 <지장보살도> (미국 소미소니언 프리어갤러리 소장)

    천상과 지옥 넘나들며 중생구제의 빛 비추네 2007.3.14 ‘그 때 커다란 향구름과 꽃구름ㆍ아름답고 오묘한 보배장식 구름ㆍ곱고 깨끗한 의복 구름이 몰려와 커다란 향비ㆍ꽃비ㆍ보배장식비ㆍ의복비를 내려 온 대지를 적십니다. 그러자 온갖 백천의 미묘...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72
    Read More
  10.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3) 고려불화 <아미타여래도> (日 교토 선림사 소장)

    극락정토의 아름다움, 한 몸에 품다 2007.2.28 달님이시여 서방까지 가셔서 무량수불전에 일러 사뢰소서 서원 깊으신 부처님을 우러러 두 손 모아 원왕생- 원왕생- 그리워하는 이가 있다고 사뢰소서 아아, 이 몸 남겨 두고 사십팔 대원 이루실까 <삼국유사 권...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294
    Read More
  11.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2) 근원으로 돌아가라 <반본환원> 송광사 심우도 벽화

    근원으로 돌아가라 2007.2.14 계획없이 찾아간 전남 조계산 송광사. 승보전에 그려진 심우도 벽화를 따라 한발 한발 옮겨가다가 멈추어 서게 된 것은 ‘반본환원(返本還源, 근본으로 돌아가라)’의 장면이었습니다.(그림1) 返本還源已費功 근원으로...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9
    Read More
  12.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1) <유마거사와 문수보살의 법담>(하) (中 돈황벽화)

    일체의 대립 초월해 대자유에 들어가 보라 2007.1.24 유마거사에게 병이 났다고 합니다. 병이 났다는 것은 나와 우주와의 조화가 깨졌다는 신호. 인간은 대자연의 일부이니, 자연스레 흘러야할 몸의 또는 정신의 운행에 차질이 생겼다는 것은 나와 자연과의, ...
    Date2016.03.04 By강소연 Views42
    Read More
  13.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20) <유마거사상>(상) (日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분별 떨쳐낸 순간 꽃은 그냥 꽃일 뿐 2007.1.10 ‘그때 아리따운 천녀 하나가 유마의 방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그림1). 그녀는 곧 대보살들과 대 제자들의 머리 위로 아름다운 꽃비를 내려습니다(그림2). 보살들의 몸에 내린 꽃잎들은 아래로 흘러 떨어...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54
    Read More
  14.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9) <일심삼관문탱(一心三關門幀)> (심우사 소장)

    어머니! 당신이 없으면 이 세상도 없습니다 2006.12.13 ‘가령 어떤 사람이 그 왼쪽 어깨에는 아버지를 오른쪽 어깨에는 어머니를 업고, 살가죽이 닳아 뼈에 이르고 또 뼈가 닳아 골수에 이르기까지 수미산을 백 천 번 돌더라도 부모의 깊은 은혜는 다 ...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48
    Read More
  15.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8) 조선후기 화엄탱/팔상탱 속의 노사나불: 설법인 보살형노사나불의 출현(하)

    귀족불교에서 민중불교로 가는 전환기 반영 2006.11.8 자비로운 행동(菩薩行)으로 이 험한 세상을 아름답게 가꾸는 것(莊嚴), 쉽게 말하자면 이것이 바로 ‘갖가지 꽃(華)으로 장엄(莊嚴)한다’라는 <화엄경(華嚴經)>의 의미입니다. 어렵게 말하자...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69
    Read More
  16. No Image

    【현대불교신문】 불화 속의 명장면(17) 조선후기괘불 공주 신원사 <노사나불도>: 설법인 보살형노사나불의 출현(상)

    "법을 설하리" 큰 수레 굴리는 경이적 순간 2006.10.25 “고생 끝에 겨우겨우 얻은 이것을 어이 또 남들에게 설해야 되랴…” 석가모니는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은 뒤에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정각(正覺, 깨달음)을 통해 힘겹게 얻게 된 이...
    Date2016.03.03 By강소연 Views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